요즘 진행하는 프로젝트가 있는데, 일단 구현을 완료해서 배포를 해 둔 상태였습니다.
광고수익을 위해 이번에는 Adsens 대신 Ezoic을 써보려고 진행하다가, 제 도메인 접속이 안되는 문제를 겪어서 후기 남깁니다.
일단 저는 http 웹페이지를 구현해서 배포했고, AWS의 Cloudfront를 이용해서 http를 https 로 redirect 시켜 https 페이지를 처리했습니다.
Ezoic에 가입하고 도메인 입력후, 하라는데로 진행하다보니 Name Server Integration이라는 단계가 나왔습니다.
본인 도메인의 name server를 지정해준 ezoic name server로 바꾸라는 내용이었는데, Route53에서 레코드 확인해보니 NS유형의 처음부터 등록되어있는 레코드를 수정하면 되는것 같았습니다. 수정시에 아래와 같은 경고가 나왔지만, ezoic 페이지에서 동작상의 변경은 없을것이라는 내용을 보고 그냥 무시하고 진행했습니다.
그래도 혹시나 해서, 기존의 NS값은 따로 저장을해두고 진행했습니다.
일단 변경 직후에는 딱히 드러나는 변화는 없었고, Ezoic 페이지에서 또한 Integration에 시간이 좀 걸린다는 내용이 있었습니다.
12시간 정도 지났을때, 갑자기 제 https 도메인으로 접속이 안되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접속시 "Failed to contact the origin" 에러 발생.
전조 증상이 있었는데, 이미지 하나가 갑자기 표시가 안되길래 cloudFront 무효화를 했더니 사단이 났습니다.
아무튼 redirect 원본 http 페이지도 됬다가 안됬다가 하더니, 나중에는 둘다 먹통이 되버렸습니다.
처음에는 뭐때문인지 감도 못잡고 CloudFront 삭제하고 새로 연결도 시켜보고, nginx 재시작해보고 했지만 전혀 해결이 안됬습니다.
EC2 하나에 여러개 도메인을 연결해서 사용중이었는데, NS변경한 하나의 도메인에만 문제가 생기고있었습니다.
(혹시나해서 Ezoic의 Recheck integration 눌러봤지만 여전히 integration은 안됬다는 메시지만 나오고있었습니다.)
그래서 NS문제라는걸 확신했고, NS변경 전 값으로 다시 돌리고 기다렸습니다.
혹시나 TTL값 줄이면 되나하고 최솟값으로 줄였는데, 바로 수정이되지는 않았습니다.
수정하고 18시간정도 지났을때 확인해보니, 다행히도 정상상태로 돌아와있었습니다.
AWS로 받은 도메인에서만 발생하는 문제인지... ezoic 관련 정보가 많이 없어서 잘 모르겠습니다.
Ezoic은 다음기회에 다른 것 시작할때 초반부터 설정하고 진행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저는 이미 트래픽이 조금 있는 페이지라 겁먹고 바로 안쓰기로 결정했습니다.
기다리는 것 외에 명확한 해결법은 찾지못했지만, 복구 기다리는 시간이 많이 힘겨웠습니다.
혹시나 저와 같은 문제를 겪는 분이 있을까봐 일기형식으로 글 남겨봅니다.
'개발 > troubleshoo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 Helmet으로 og tag 설정시 이미지 적용 안되는 문제 (0) | 2023.06.07 |
---|---|
[React.js] UNSAFE_componentWillMount Warning with React-Helmet (0) | 2023.04.19 |
[AWS] EC2 ssh 접속 불가 문제 해결 (0) | 2023.04.09 |
[AWS] httpd installed but apache default page is not displayed (0) | 2023.04.06 |
[AWS] AWS Certificate Manager 에서 인증서 요청 후 상태 검증대기중 에서 안바뀌는 문제 (1) | 2023.04.06 |